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미에현 제3구

덤프버전 :


도카이 지방 국회의원
기후현, 시즈오카현, 아이치현, 미에현
[ 중의원 의원 ]

기후 1구기후 2구기후 3구기후 4구기후 5구
노다 세이코다나하시 야스후미무토 요지가네코 슌페이후루야 게이지
시즈오카 1구시즈오카 2구시즈오카 3구시즈오카 4구시즈오카 5구
가미카와 요코이바야시 다쓰노리고야마 노부히로후카자와 요이치호소노 고시
시즈오카 6구시즈오카 7구시즈오카 8구아이치 1구아이치 2구
가쓰마타 다카아키기우치 미노루겐마 겐타로구마다 히로미치후루카와 모토히사
아이치 3구아이치 4구아이치 5구아이치 6구아이치 7구
곤도 쇼이치구도 쇼조간다 겐지니와 히데키스즈키 준지
아이치 8구아이치 9구아이치 10구아이치 11구아이치 12구
이토 다다히코나가사카 야스마사에사키 데쓰마야기 데쓰야시게토쿠 가즈히코
아이치 13구아이치 14구아이치 15구아이치 16구미에 1구
오니시 겐스케이마에다 소이치로네모토 유키노리공석1다무라 노리히사
미에 2구미에 3구미에 4구
가와사키 히데토오카다 가쓰야스즈키 에이케이
비례 1비례 2비례 3비례 4비례 5
아오야마 슈헤이반노 유타카이시 타쿠미야자와 히로유키오구치 요시노리
비례 6비례 7비례 8비례 9비례 10
나카가와 마사하루스기모토 카즈미이케다 요시타카시오노야 류요시다 츠네히코
비례 11비례 12비례 13비례 14비례 15
나카가와 타카모토모토무라 노부코이토 와타루다나카 켄와타나베 슈
비례 16비례 17비례 18비례 19비례 20
이시하라 마사타카마사키 마키요시카와 타케루마키 요시오야마모토 사콘
비례 21
나카가와 야스히로
일본 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1] 2022년에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통과되어 신설된 지역구임.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미에현 제3구
三重県第3区
||
파일:shuinsen_Mie3.svg
선거인 수414,312명 (2021)
상위 도도부현미에현
하위 행정구역욧카이치시(중~북부), 쿠와나시, 이나베시, 쿠와나군, 이나베군, 미에군
국회의원

오카다 가쓰야




1. 개요[편집]


미에현욧카이치시 일부, 쿠와나시, 이나베시, 쿠와나군(키소사키초), 이나베군(토인초), 미에군(아사히초, 카와고에초, 코모노초)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前 민주당, 민진당 대표이자 입헌민주당의 간사장인 오카다 가쓰야이다.


2. 상세[편집]


미에현의 북쪽 끝에 있으며, 아이치현, 기후현. 시가현 등과 맞닿아있다. 다른 현에 속해있지만 나고야시와 가깝기 때문에 나고야에 통근하는 인구도 상당히 많다.

옆 지역구인 미에현 제2구와 함께 ‘민주왕국’이라고 불리던, 민주당 초강세 지역구였고, 현재는 입헌민주당 초강세 지역구이다. 워낙 민주당이 강세인 이유는 오카다 가쓰야 전 대표의 지역기반이 매우 탄탄해서이다. 물론 중선거구제 시절부터 야당 강세지역[1]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중선거구제 당시에는 자민당 다케시타파[2] 소속의 야마모토 유키오 前 자치대신이 두꺼운 지반을 구축하고 있었고, 그의 후계자로서 지역구를 이어받은 3구 의원인 오카다 가쓰야와 前 2구 의원[3] 나카가와 마사하루 모두 자민당 출신인데, 1990년대 야권 재편 당시 자유민주당을 탈당하여 신생당을 창당하였고 이후 신진당 - 국민의 목소리 - 민정당을 거쳐 최종적으로 제1야당 민주당으로 옮기면서 매우 강력한 지역기반을 유지하는데 성공했기에 현재까지도 입헌민주당 초강세 지역으로 분류되는 것이다. 물론 자민당도 이 선거구를 탈환하기 위해 욧카이치시 출신 참의원 의원이었던 히라타 고이치를 옹립하여 비례순위에서 우대하는 등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으나 오카다 가쓰야의 존재감이 압도적이어서 전부 실패했다. 특히 정권교대 총선에서는 11만 표 이상의 차이로 압승한 바 있다.

1996년 중의원에 소선거구제가 도입된 이래 단 한번도 자유민주당 후보가 소선거구에서 당선된 적이 없는 선거구이다.[4]

3. 역대 국회의원[편집]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미에현 제3구
욧카이치시 일부, 쿠와나시, 쿠와나군, 이나베군, 미에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오카다 가쓰야108,690표1위


57.86%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가네코 가즈야58,507표2위


31.10%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니시오 타네코20,657표3위


11.00%낙선
유효표 수190,586표투표율
63.20%
선거인 수304,462인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미에현 제3구
욧카이치시 일부, 쿠와나시, 쿠와나군, 이나베군, 미에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오카다 가쓰야117,868표1위


54.16%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히라타 고이치82,222표2위


37.78%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호시노 리츠코17,547표3위


8.06%낙선
유효표 수125,659표투표율
69.97%
선거인 수316,444인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미에현 제3구
욧카이치시 일부, 쿠와나시, 쿠와나군, 이나베군, 미에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오카다 가쓰야132,109표1위


62.05%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히라타 고이치67,247표2위


31.58%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호시노 리츠코13,562표3위


6.37%낙선
유효표 수125,659표투표율
67.11%
선거인 수322,253인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미에현 제3구
욧카이치시 일부, 쿠와나시, 이나베시, 쿠와나군, 이나베군, 미에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오카다 가쓰야140,954표1위


60.09%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히라타 고이치81,719표2위


34.84%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호시노 리츠코11,895표3위


5.09%낙선
유효표 수125,659표투표율
72.63%
선거인 수326,576인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미에현 제3구
{{{#fff
욧카이치시 일부, 쿠와나시, 이나베시, 쿠와나군, 이나베군, 미에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오카다 가쓰야173,931표1위


72.20%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히라타 고이치62,993표2위


26.15%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노하라 노리코3,968표3위
1.65%낙선
유효표 수149,909표투표율
73.08%
선거인 수334,471인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미에현 제3구
욧카이치시 일부, 쿠와나시, 이나베시, 쿠와나군, 이나베군, 미에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오카다 가쓰야126,679표1위
64.11%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사쿠라이 히로시54,903표2위
27.79%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카마이 토시유키16,009표3위
8.10%낙선
유효표 수125,659표투표율
60.19%
선거인 수338,689인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미에현 제3구
욧카이치시 일부, 쿠와나시, 이나베시, 쿠와나군, 이나베군, 미에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오카다 가쓰야120,950표1위
64.03%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시마다 코지53,659표2위
28.41%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카마이 토시유키14,293표3위
7.57%낙선
유효표 수125,659표투표율
56.63%
선거인 수340,420인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미에현 제3구
욧카이치시 일부(히나카무라, 요고무라, 우츠베무라, 시오하마무라, 오야마다무라, 카와라다무라, 스이자와초,
쿠스초의 각 지구 시민센터 관내지역을 제외한 전역), 쿠와나시, 이나베시, 쿠와나군(키소사키초), 이나베군(토인초),
미에군(아사히초, 카와고에초, 코모노초)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오카다 가쓰야
(岡田克也)
147,255표1위
64.3%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시마다 요시카즈
(島田佳和)
63,406표2위
[공]27.7%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노무라 마사히로
(野村真弘)
28,6003위
5.2%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사카모토 마키
(坂本麻貴)
6,353표4위
2.8%낙선
총 선거인수415,230인투표율
56.03%
유효표228,878인

당선 확정 후 연설하는 오카다 가쓰야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미에현 제3구
욧카이치시 일부(히나카무라, 요고무라, 우츠베무라, 시오하마무라, 오야마다무라, 카와라다무라, 스이자와초,
쿠스초의 각 지구 시민센터 관내지역을 제외한 전역), 쿠와나시, 이나베시, 쿠와나군(키소사키초),
이나베군(토인초), 미에군(아사히초, 카와고에초, 코모노초)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오카다 가쓰야144,688표1위
64.05%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시하라 마사타카81,209표2위
35.95%비례당선
유효표 수225,897표투표율
55.31%
선거인 수414,312인

현역 입헌민주당 오카다 가쓰야 의원이 재출마한다.

자민당은 지난 중원선에서 낙선한 시마다 요시카즈가 선거패배 직후 정계 은퇴했다. 이번 선거에는 이시하라 마사타카 전 코모노초 정장을 공천했다.

오카다 의원의 경쟁력이 강해 자민당 이외의 다른 정당은 공천하지 않았다. 자민당 이시하라 후보도 지역구 당선보다는 득표율을 최대한 끌어올려 비례부활 당선을 노릴 것이 전망된다.

개표 결과, 입헌민주당의 오카다 가쓰야 의원이 60%가 넘는 득표율을 기록하며 자민당의 이시하라 마사타카 후보를 압살하고 11선 고지에 올랐다. 세대교체 바람에 입헌민주당 중진들이 연이어 고전[5]하거나 지역구에서 낙선[6]하거나 석패율제 구제도 못 받고 완전 낙선[7]한 가운데에도 노다 요시히코 전 총리와 함께 가장 선전한 후보가 되었다.

자민당 이시하라 마사타카 후보는 지역구에서 큰 표차로 패배했으나, 자민당이 도카이 지역에서 압승하는 덕분에 지역구 패배 후보의 수가 많이 줄어들었다. 덕분에 석패율제를 통해 비례대표로 당선되었다.

4.10.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현역 입헌민주당 오카다 가쓰야 의원이 재출마할 것으로 보인다.

자유민주당에서도 이시하라 마사타카 의원이 재도전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유신회에서는 이토 마사시 후보를 공천했다. 참정당에서는 주부인 니와 마사미 후보가 출마한다.

[1] 즉, 55년 체제 당시 舊 일본사회당, 민사당, 사회민주연합, 일본공산당혁신정당의 강세지역을 말하는 것이다.[2] 당시 파벌의 정식 명칭은 경세회[3] 현재는 도카이 권역 비례대표 중의원 의원이다.[4] 이렇게 소위 민주왕국으로 불리는 선거구에는 이외에도 이와테현 제1구, 미야기현 제5구, 가나가와현 제8구, 그리고 아이치현 제2구가 있다.[공] 추천[5] 간 나오토, 에다노 유키오[6] 가이에다 반리, 오자와 이치로[7] 히라노 히로후미, 쓰지모토 기요미